-
- 강섬유 양 끝단 외측 간의 거리
-
- 길이/선경 비율
-
- 콘크리트와 섬유 간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섬유의 양 끝단을 변형
-
- 강섬유의 굵기
-
- ASTM A 820 Type I / EN 14889-1 Group I 분류, LFW
-
- 번들형/후크앤드/일반강도 등 제품의 형태를 구분하는 코드
-
- 길이/선경의 비율. 일반적으로 형상비가 높을수록 보강효과도 높아지나 강섬유의 분산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적정한 형상비의 선택이 중요함.
-
- 강섬유 후크의 끝단까지의 거리
![](../make_img/sub04/img_product01_03_01_02.png)
- 섬유의 분산성을 높이고 Fiber-Balling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낱개의 강섬유들을 수용성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강섬유 다발의 번들형태로 만든 제품.
![](../make_img/sub04/img_product01_03_02_02.png)
- 기본형 낱개 강섬유 제품. 박스포장을 이용하면 섬유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, Air-blower 강섬유 공급기 사용에 용이함.
![](../make_img/sub04/img_product01_03_03_02.png)
- 인장강도 최소 1,500 N/㎟의 Cold-drawn wire를 사용한 고강도 강섬유를 번들형태로 제작한 제품. 고강도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하면 매우 높은 보강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.
![](../make_img/sub04/img_product01_03_04_02.png)
- 인장강도 최소 1,500 N/mm2의 Cold-drawn wire를 사용한 고강도 강섬유 기본형 제품. 박스포장을 이용하면 섬유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음.
![](../make_img/sub04/img_product01_03_05_02.png)
- ASTM A 820 Type V Shaved cold-drawn wire 로 분류되는 경제형 강섬유로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결모양으로 변형한 것이 특징.